본문 바로가기
역사 이야기

조선시대 계급 신분제도 양천제 알아보기

by *Bella* 2024. 2. 6.
728x90
반응형

조선시대 계급 신분제도 양천제 알아보기

 

 

조선시대 계급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조선 시대의 신분은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신분에 따라 권리와 의무가 달랐습니다.

오늘은 조선시대 계급인 신분제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시대 계급 신분제도 양천제 알아보기
조선시대 계급 신분제도 양천제 알아보기

 

 

조선시대 계급 양천제

 

조선시대의 신분제도는 양천제입니다.

양천제란 양민과 천민으로 나누어진 신분제도를 말합니다. 그리고 양민계급은 세부적으로 양반, 중인, 상민 이렇게 세 가지 계급으로 나뉘어 집니다.

양반은 관리가 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직접 참여하였으며, 중인은 양반을 도와 관청에서 일을 하거나 기술직에 종사하였습니다. 상민은 농업, 수공업, 상업 등에 종사하는 일반 백성들이었습니다. 천민은 노비들과 천하게 여겼던 직업에 종사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2023.12.17 - [벨라의 작은 도서관] - 조선 시대 왕 순서(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와 왕 이름 업적들

 

조선 시대 왕 순서(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와 왕 이름 업

조선 시대 왕 순서와 왕 이름 업적들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학창시절에 많이들 외우셔서 아직까지도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테죠? 오늘은 조선 왕

bella-bookstory.tistory.com

 

 

1. 양반

 

문반, 무반

양반은 고려시대의 귀족 계급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시대 신분제도 중 가장 높았던 신분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과거시험에 합격한 문반과 무반을 양반이라고 했는데, 조선 중기부터는 과거 시험에 떨어져도 할아버지, 아버지가 양반이면 양반으로 통칭하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양반은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되어 나랏일에 참여하거나 관리가 되지 않은 양반은 글공부를 주로 하였습니다. 땅과 노비를 소유할 수 있었고 자기 땅의 농사는 노비와 소작농에게 맡겼습니다.

양반은 유교를 숭상하여 충효를 중시하였고, 학문과 예의를 중시하는 계층이었습니다. 유교 경전을 공부하거나 시짓기, 활쏘기 등을 하였으며 이러한 양반들 중에서 학식과 인품이 높은 사람을 선비라고 불렀습니다.

 

 

2. 중인

 

내관, 나인, 기술관, 서리, 향리, 군교, 역관, 서얼

양반 보다 한 계급 낮은 신분으로 주로 관청에서 일을 하거나 기술직에 종사한 신분입니다.

중인은 과거 제도에서 잡과 시험에 합격해 의관, 통역관, 관청의 낮은 신분으로 일을 하였으며 높은 관직에 오르는 일이 극 소수에 불과하였습니다.

본처가 아닌 첩에게서 얻은 자식을 뜻하는 서얼 또한 중인에 속했습니다.

중인은 양반 못지않은 지식과 부를 가졌지만 차별 대우를 받았으며, 조선 후기에는 신분 해방 운동에 앞장서기도 했습니다.

 

 

3. 상민

 

농민, 어민, 상인, 공인

상민 중에서 농민은 조선 시대 백성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습니다. 이들은 국가에 세금을 내고 군대에 가는 등 나라를 유지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교육을 받지 못하는 신분으로 관리가 될 수 있는 과거급제 시험은 보기 힘들어 벼슬을 할 수 있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였습니다.

대부분의 농민이 조그마한 자기 땅이나 지주의 땅에서 농사를 지었습니다.

상인과 수공업자도 상민 신분이나 그 수는 많지 않았습니다. 뱃사공, 묘지기, 어부, 목축업, 봉수꾼들도 상민에 속하였습니다.

 

 

 

 

4. 천민

 

노비, 백정, 무당, 창기, 광대, 승려

조선시대 가장 낮은 계급으로 최하층 신분입니다.

천민의 대부분은 노비로 나라와 개인의 소유물로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재산증여가 가능하여 양반의 집안에 노비를 다른 집안으로 판매를 하거나 증여를 할 수 있었습니다.

부모 중 한 명이라도 천민을 경우에는 자식 역시 천민 신분을 이어 받았습니다. 천민은 절대 신분을 높일 수가 없었으나 나라에 돈을 내거나 전쟁에서 공을 세우게 되면 천민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승려가 천민 계급으로 간 것은 숭유억불 정책이 원인입니다.

 

 

이상 조선시대 계급인 양천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4.01.30 - [벨라의 작은 도서관]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출제 조선시대 화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출제 조선시대 화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출제 조선시대 화폐 화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자주 출제됩니다. 오늘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자주 출제 되는 조선시대 화폐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조선

bella-bookstory.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